마이페어 로고
    참가 중인 박람회
    로그인

    [반려동물 산업] 펫케어 시장 규모부터 트렌드까지, 제품 수출 준비하기 | 국가별 박람회 Tip

    펫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금, 귀사의 제품은 어떤 국가에 가장 적합한가요? 주요 수출 대상국인 중국과 미국의 펫케어 트렌드부터 수출 계약을 위한 방법까지, 지금 바로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국가별 박람회 Tip | 해외 공통

    [반려동물 산업] 펫케어 시장 규모부터 트렌드까지, 제품 수출 준비하기

    펫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금, 귀사의 제품은 어떤 국가에 가장 적합한가요? 주요 수출 대상국인 중국과 미국의 펫케어 트렌드부터 수출 계약을 위한 방법까지, 지금 바로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작성일: 2025-04-24

    ✅펫케어 수출 계약의 첫걸음


    해외-수출-절차-001 (1).png

    기본적인 수출 절차는 크게 5개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수출 계약을 중심으로 계약 전에는 수출 계획과 조사, 계약 후에는 운송과 사후관리 단계가 진행됩니다. 수출 계약이 목적인, 수출의 첫걸음에 있는 기업이라면 수출 계획 및 조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해외 시장 조사, 제품 인증 및 규정 확인, 바이어 확보가 그 예입니다.

    특히 펫케어 제품은 국가별로 선호도, 규제, 유통 환경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계약 이전 단계에서의 철저한 시장 이해와 사전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마이페어가 펫케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과 함께, 바이어와 수출 계약까지 이어지는 핵심 전략을 분석해 봤습니다.

    ✅펫케어 제품, 커지는 반려동물 시장의 핵심이 되다.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규모 추이 및 전망 (2).png

    반려동물 시장은 2022년 기준 약 8.5조 원에 달합니다. 삼정 KPMG 경제 연구원에 따르면 2032년에는 약 21조 원의 시장 규모가 될 것이라 예측했는데요. 반려동물 양육 가구 비율 역시 2024년 기준 약 28.6%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펫케어 제품이 성장한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과 반려동물의 관계가 소유관계에서 가족 같은 관계로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려는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펫케어 제품은 반려동물 시장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대표적인 트렌드 분야가 되었습니다.

    펫케어(Pet Care)

    반려동물을 건강하고 깨끗하게 유지하고, 행복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제품 및 서비스

    반려동물 생애 주기를 통해 본 펫케어 산업 구조 분석


    반려동물 생애 주기란 반려동물이 탄생 → 성장 → 질병(건강관리) → 사망까지 겪는 전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왜 반려동물 생애 주기를 통해 펫케어 산업 구조를 봐야 할까요?

    반려동물은 사람과 유사하게 생애 단계에 따라 제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성장 단계의 사료와 건강관리 단계의 사료가 다른 것처럼 생애 주기별로 고객의 니즈가 자연스럽게 변화합니다. 결국 각 생애 주기에 맞추어 펫케어 제품 및 서비스가 고도화되기 때문에, 반려동물 생애 주기를 통해 펫케어 산업 구조를 살펴볼 필요성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반려동물의 생애 주기를 생로병사로 나누어 어떤 분야의 펫케어가 발전했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

    반려동물-생애주기-001 (1).png

    반려동물의 탄생과 성장 단계

    삶을 함께 키우고 돌보는 여정입니다. 반려동물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펫 푸드와 미용 관련 펫케어 제품, 그리고 인간과의 공존을 돕는 펫 스마트 기기, 반려동물 호텔 등의 분야가 눈에 띄게 성장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펫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발전했습니다.

    반려동물의 질병과 사망 단계

    건강을 지키고 이별을 존엄하게 준비하는 여정입니다. 고령화에 대응한 영양제, 건강 보조제 중심의 건강 관리 제품과, 반려동물의 마지막 순간까지 정서적·문화적으로 돌보는 추모 등의 펫케어 서비스가 발전했습니다. 여기에 중점을 둔 펫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고도화되었습니다.

    ✅펫케어 제품, 수출 전망은?


    한국이 주로 겨냥하는 반려동물 시장은 크게 중국과 미국입니다. 중국은 급성장 시장, 미국은 이미 성장한 안정적인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두 국가 모두 펫케어 제품이 수출하기 좋은 국가이지만, 생애 주기별 성격은 달랐습니다.

    중국: 반려동물의 탄생과 성장 단계에 있는 펫케어 서비스 제품

    중국은 연간 성장률이 20%를 상회하는 급성장 시장입니다. 2032년까지 연간 복합 성장률(CAGR) 6.7%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측도 존재하는 만큼 반려동물의 성장을 함께하는 펫케어 서비스 제품이 주목을 받고 있었습니다.

    2018년, 스타벅스가 중국 청두와 선전에서 최초로 반려동물 동반 카페를 개설한 데 이어 최근 몇 년간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한 백화점(쇼핑몰), 카페, 찻집, 레스토랑 등 펫 서비스 산업이 잇따라 문을 열고 있었다는 점에서 수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반려동물의 질병과 사망 단계에 있는 펫케어 제품

    미국은 중국과 다르게 이미 성장한 안정적인 대형 시장입니다. 반려동물 산업 규모 1위답게, 미국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2019년 971억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4년에는 1506달러까지 성장하였습니다. 점차 색다른 제품들을 바이어들이 탐색하고 있는 만큼,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가 반려동물 시장에도 반영되어 고품질 사료, 영양 보충제 등 반려동물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분야의 펫케어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었습니다.

    반려동물 병원 비용 부담과 펫 보험 상품 자부담금의 부담도 건강 보조제 등의 질병 예방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수출에 중요한 채널, 박람회


    지금까지 반려동물 생애 주기에 따라 펫케어 제품 동향을 파악해 보았습니다. 중국은 반려동물의 탄생과 성장, 미국은 반려동물의 질병과 사망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시장 분석을 통해 수출 계획을 수립하셨다면, 이제는 수출 계약을 위해 바이어와 상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수출 계약에 중요한 채널은 바로 박람회입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에 따르면, 박람회는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시장 정보를 얻고 광범위한 인적 네트워킹이 가능한 좋은 계약 수단이라고 말합니다. 펫 산업에서 박람회는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시장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경쟁사 대비 자사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마이페어 역시, 박람회 참가를 통해 바이어를 만나 성과를 이룬 고객 사례를 접했습니다.

    현지 바이어를 만나는 길, 박람회 참가를 통해 유통 업체 및 인지도를 확보해보세요!

    👉해외 수출에 중요한 채널, 박람회 둘러보기

    중국 펫 박람회 리스트

    미국 펫 박람회 리스트

    👉마이페어 박람회 솔루션 서비스 확인하기

    *참고 자료: Kotra 해외경제정보, Kotra 해외수출가이드, 수의사신문 데일리벳,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반려동물 산업
      • #산업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