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세계 면세품 박람회 및 컨퍼런스 2026
TFWA 2026TFWA ASIA PACIFIC EXHIBITION & CONFERENCE 2026기본 정보
개최 일정 | 2026년 05월 10일(일) - 14일(목) | 개최 국가/도시 | |
개최 장소 | Sands Expo & Convention Centre | 개최 시간 | 10:00 ~ 17:00 |
개최 주기 | 1회 / 1년 | 참가기업 수 | 216개사 |
참관객 수 | 3,039명 |
추가 정보
TFWA 아시아 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면세 및 여행 소매 산업 B2B 박람회입니다.
2020년 기준 300개 이상 글로벌 브랜드, 3,367명의 방문자, 1,000명 이상의 DF&TR 바이어가 참가했습니다.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에서 개최되며, 컨퍼런스, 비즈니스 미팅(ONE2ONE), 네트워킹 파티 등의 부대 행사가 개최됩니다.
주요 전시 품목은 화장품, 주류, 패션잡화, 시계·보석, 전자제품, 식품·스낵류 등 면세 유통 품목 전반입니다.
최근에는 트래블 리테일 특화 브랜드, 지속가능 패키징, 현지화 기획제품 등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에게는 글로벌 면세 유통망 진입 및 하이엔드 브랜드 포지셔닝 확보의 전략적 기회가 됩니다.
🗝️ 박람회 참가를 고려 중이라면
STEP 1. 참가업체 분석을 통해, 자사와 박람회 적합도를 판단해보세요.
STEP 2. 참관객 분석을 통해, 참가 성과를 예측해보세요.
STEP 3. 부스 예약 시기 및 주의 사항을 분석하여, 마이페어 서비스 이용을 고려해보세요.
1. 참가업체 분석
어떤 참가업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자사와 박람회 적합도를 판단해보세요.
1-1. 화장품·주류가 절반 이상 구성
카테고리 | 주요 기술/제품 | |
---|---|---|
Fragrances & Cosmetics | 향수, 메이크업, 스킨케어, 뷰티 디바이스 | |
Wines & Spirits | 주류, 증류주, 전통주, 와인 | |
Fashion & Accessories | 패션 잡화, 여행용 가방, 아이웨어 | |
Confectionery & Food | 고급 스낵, 초콜릿, 건강식품 | |
Electronics | 면세 전용 소형 전자기기 및 액세서리 |
*2025 참가업체 카테고리
전체 참가사의 46%가 화장품(23%) 및 주류(23%) 관련 브랜드입니다.
이는 트래블 리테일 주력 품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프리미엄 디자인, 휴대성, 보관성, 글로벌 레퍼런스 보유 여부가 바이어의 주요 판단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1-2. 프리미엄 브랜드 중심 구성
기업명 | 기술 분야 | |
---|---|---|
BOTTEGA | 와인 / 증류주 / 맥주 / 무알콜 음료 | |
CHANEL | 향수 / 화장품 | |
CHOCO MYTHS | 초콜릿 / 고급 식품 / 건강기능식품 | |
HEINEKEN | 와인 / 증류주 / 맥주 / 무알콜 음료 | |
ROKKOSAN DISTILLERY | 와인 / 증류주 / 맥주 / 무알콜 음료 |
*2025 참가업체 카테고리
화장품, 고급 초콜릿, 주류 등 브랜드력 중심의 기업들이 중심을 이루며,
글로벌 유통망 구축, 고급화 브랜딩, 트래블 단독 패키지 개발 기업에게 적합한 전시입니다.
2. 참관객 분석
어떤 참관객이 방문하는지 분석하여, 참가 성과를 예측해보세요.
2-1. 아시아 리테일 운영사 중심 바이어
항목 | 비율 또는 수치 | |
---|---|---|
전체 방문자 수 | 3,367명 (2019년) | |
DF&TR 운영사 소속 바이어 수 | 1,109명 | |
아시아 태평양 비중 | 약 70% 이상 |
*2020 참관객 통계
TFWA 방문객의 다수는 면세점·공항·크루즈·항공사 운영사 소속 바이어로 구성되며,
대부분 구매/운영 의사결정권자 또는 본사 기획 담당자입니다.
트래블 유통 진입이 목표인 한국 기업에게는 고위급 바이어와 1:1 미팅을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작용합니다.
2-2. 참가국 분포: 아시아 주도, 한국 상위 2위
국가 | 방문자 수 (2019 기준) | |
---|---|---|
싱가포르 | 713명 방문 | |
한국 | 290명 방문 | |
말레이시아 | 216명 방문 | |
홍콩 | 187명 방문 | |
일본 | 125명 방문 |
*2020 참관객 주요 국가
아시아 참가자 비율이 전체의 2/3 이상이며, 한국은 2번째로 높은 국가별 방문자 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의 참가 및 바이어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공식 수치로 입증합니다.
특히 K-뷰티·K-푸드 브랜드에게는 구체적 유통 계약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부스 예약 시 유의사항
부스 예약 과정에서 주의할 점을 확인하고, 마이페어 서비스를 고려해보세요.
⏰ 최적의 부스 위치 확보를 위해, 빠른 예약이 필요합니다.
⚠️ 전시품의 공항/항공/면세 유통 적합성 기준 충족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 패키징, 브랜드 스토리텔링, 글로벌 유통 실적 등 포트폴리오 정비가 필요합니다.
마이페어는 기업이 성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복잡한 부스 준비를 지원합니다.
부스 예약 및 상세 안내는 우측 하단 챗봇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부스 정보


위치
마이페어는 주최사 제공 자료를 바탕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있으며, 일부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본 정보를 참고해 취하신 조치에 대해서는 당사가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안내드립니다.